06 티스토리 본문 p태그 줄간격 줄간격을 조절하고 싶다면 설정-스킨편집에서 html편집 버튼을 찾아 누른 후 CSS를 수정해주자.CSS에서 ctrl+F를 사용하여 entry-content p를 찾아 아래 내용을 편집. line-height과 margin-bottom을 적절히 조절해주면 끝. *주의 : 글이 등록된 상태에서 확인해야 확인 가능. 새로고침 했는데도 반영되지 않았다면 수정을 눌렀다가 발행을 다시 누르면 변경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5. 2. 17. PC 메모리 RAM 정리 PC가 조금 느려졌다 싶을 때 메모리 정리를 하면 성능에 도움이 될 수 있다.이때,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 하려면 Ctrl + Shift + ESC를 눌러서 작업관리자를 연다. 성능 탭에서 우측 상단 ...메뉴를 열고 리소스 모니터를 연다. 메모리 탭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를 확인이 중 대기모드에 할당된 메모리를 정리해주기 위해 Microsoft에서 배포하는 RAMMap을 설치해준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sysinternals/downloads/rammap RAMMap - Sysinternals여러 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고급 실제 메모리 사용량 분석 유틸리티입니다.learn.microsoft.com 설치 후 RAMMap.exe파일을 실행, .. 2024. 4. 26. 티스토리 본문 너비 조절 검색해보니 .main의 max-width 값이나 .area-main의 max-width값을 조정해주면 된다고 나오는데 스킨마다 조금씩 이름에 차이가 있는지 Portfolio 스킨을 사용중인 입장으로 아무리 찾아도 .main은 있지만 max-width는 없었고 .area-main은 그냥 없었다. ... max-width로 검색하다가 .article_view에 있는 max-width를 조절해주니 해결. 700px를 800px로 늘려줬다. 2023. 9. 10. 티스토리 코드블럭 라인넘버 설정 코드블럭에 라인넘버를 설정해주기 위해 관리-스킨편집-html에 들어가 준다. HTML탭에서 사이에 추가해준다. /*need for code block*/ pre code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font-size: 1rem; line-height: 1.3; } pre code.hljs { padding: 10px; margin: 15px 0; max-width: 100%; overflow-x: auto; overflow-y: hidden; border-radius: 7px; line-height: 130%; } .hljs { white-space: pre; overflow-x: auto; } /* for block of numbers */ .hljs-ln-num.. 2023. 9. 10. Git Cmd창에서... mkdir 폴더 생성 cd 폴더 이동 ls 해당 폴더 내용 보기 git init 초기화 git push 깃허브 repository에 올리기 git pull 깃허브 원격 repository에서 local로 내려받기 git add 파일명 파일을 커밋할 준비를 함 git commit -m "" 커밋 내용 작성, 커밋 git commit 좀 더 자세한 커밋 작성 가능 git merge 해당 브랜치 병합 git branch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branch_name 해당 브랜치로 이동 git reset/revert 해당 히스토리로 복구 2022. 3. 23. Clean Code Refactoring을 통한 Clean Code 작성법 고려해야할 것 의미 있는 이름 코드를 처음 보는 사람들이 봐도 한 눈에 어떤 기능을 하는 함수/변수인지 알 수 있게 이름을 지어야 한다. #My Bird's Age MBA = 3 #처음 보는 사람은 MBA가 뭔지 모른다. 주석으로 써놓는 것도 좋지 않은 방법. ################### my_bird_age = 3 추상화 함수를 정의할때 최대한 간결하게 핵심 내용만 눈에 보이도록 설계해야 한다. 부수 효과 X 하나의 코드를 수정하면 다른 쪽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코드들이 많은데 이런 부수효과가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 깔끔하게 코드를 짜야 한다. Early Return 짧게 짧게 끊어서 return 시켜주어, 계속 생각하고 있어야하는 코드를 줄인.. 2022. 3.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