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앙 처리 장치란?
명령어 해석, 자료의 연산, 비교 등 처리를 제어하는 장치.
※ CPU 성능 평가 단위
- MIPS
- FLOPS
- Clock : CPU 처리 속도 단위. 1초 동안 발생하는 클럭 펄스의 주파수 표시. 클럭 주파수▲ = CPU 성능 좋음.
- 메가헤르츠(MHz) : CPU가 동작하는 클럭 속도의 단위. 전기적 주파수의 단위를 표시.
2. 중앙 처리 장치의 구성
① 레지스터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명령어나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하는 기억 장소
- 레지스터의 크기는 한 번에 처리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Word)
- 레지스터는 기본 소자인 Flip-Flop이나, 플립플롭의 기본 구성 요소인 Latch를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한 구조다.
- 메모리 중에서 가장 속도가 빠름.
② 연산 장치(ALU; Arithmetic and Logical Unit) :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연산(+, -, *, / 등 실제적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구성 장치 | 기능 |
가산기 | 2진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 |
보수기 | 뺄셈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된 값을 보수로 변환하는 회로 |
누산기 | 중간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프로그램 상태 워드(PSW) | 명령어 실행 중에 발생하는 CPU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레지스터 |
인덱스 레지스터 | 유효 번지를 상대적으로 계산할때 사용하는 레지스터 |
베이스 레지스터 | 유효 번지를 절대적으로 계산할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 |
③ 제어 장치(CU; Control Unit) : 레지스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감시하고 ALU의 동작을 지시하는 장치
전체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을 통제/지시함.
구성 장치 | 기능 |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명령 해독기(Instruction Decoder) | 수행해야 할 명령어를 해석하여 부호기로 전달하는 회로 |
번지 해독기(Address Decoder) | 명령 레지스터로부터 보내온 번지를 해석하는 회로 |
부호기(Encoder) | 명령 해독기에서 전송된 명령어를 제어에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
명령 레지스터(IR : Insturction Register) |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번지 레지스터(MAR; Memory Address Register) | 주소 기억하는 레지스터 |
기억 레지스터(MBR; Memory Buffer Register) | 내용(자료) 기억하는 레지스터 |
3. 마이크로프로세서
: CU + ALU된 집적 회로(IC)
- 몇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시켰냐에 따라 기본적인 처리 속도가 결정됨.
※80386DX : 최초의 32비트 처리 프로세서. 내부처리 : 32비트, 외부처리 : 32비트.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설계 방식에 따른 구분
①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많은 종류 명령어와 주소 지정 모드 지원됨.
- 명령어의 길이 가변적이고 주소 지정 방식 다양.
- 프로그램 구현 수월 but 처리 속도 느림.
②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적은 종류 명령어와 주소 지정 모드 지원됨.
- 프로그램 구현 어려움 but 처리 속도 빠름.
- 레지스터 수가 많음.
- 명령어의 길이가 고정적. 주소 지정 방식이 최소화됨.
- 성능 좋은 그래픽용이나 워크스테이션에서 주로 사용.
CISC | 구분 | RISC |
1개의 명령어로 최대의 동작 | 목적 | 시간의 최소화 |
많음 | 명령어 수 | 적음 |
복잡 | 주소 지정 | 간단 |
적음 | 레지스터 | 많음 |
느림 | 처리 속도 | 빠름 |
많음 | 전력 소모 | 적음 |
고가 | 생산 가격 | 저가 |
간단 | 프로그래밍 | 복잡 |
일반PC | 용도 | 서버, 워크스테이션 |
4. 버스(Bus)
: 컴퓨터 내에서 CPU와 주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 공통 선로.
- 용도에 따른 분류
내부 버스 | CPU 내부에 있는 레지스터와 레지스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통로. |
외부 버스(시스템 버스) | CPU 외부에 있는 주변 장치와 데이터를 전송할 떄 사용되는 통로. 전달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제어 버스로 나뉘어짐. |
확장 버스(확장 슬롯) | Slot에 장치를 장착하여 확장된 기능을 사용 => 확장 슬롯이라고도 함. LAN카드, MODEM, 그래픽 카드 등을 연결할 때 사용. |
▼외부 버스의 종류
데이터 버스 | CPU에서 메모리나 입출력 기기(Input/Output; I/O)에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반대로 읽어 들일 때 필요한 전송로. |
주소 버스 | 중앙 처리 장치가 메모리나 입출력 기기의 주소를 지정할 때 사용되는 전송 통로. CPU에서만 주소를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방향 버스라고도 함. |
제어 버스 | 중앙 처리 장치가 기억 장치나 입출력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할 때 또는 자신의 상태를 다른 장치들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신호 전달하는 전송로. |
- ISA : 한 번에 16비트 이동 가능. 병목 현상 발생.
- EISA : ISA 개선 버전. 한 번에 32비트 이동 가능.
- VESA : 한 번에 32비트 이동 가능. 병목 현상 개선.
- PCI : 최대 64비트 이동 가능.
- AGP : 디지털 영상 데이터 출력/편집하는데 이용.
5. 주기억 장치(Main Memory)
: CPU가 직접 참조하는 고속의 메모리.
① ROM(Read Only Memory)
- 오직 읽기만 허용. 비휘발성.
- 기본 I/O 프로그램이나 글꼴 등 Firmware 저장 시 사용.
※펌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하드웨어 교체 없이 시스템 성능 높일 수 있음.
- 메인보드에 반도체 형태로 위치.
종류 | 특징 |
Mask ROM | 제조회사에서 미리 기록. 사용자 수정 불가능. |
PROM(Programmable ROM) | 사용자가 ROM Writer 이용하여 한 번만 기록 가능. |
EPROM(Erasable PROM) | 자외선을 이용하여 여러 번 정보 기록 가능. |
EEPROM(Electrically EPROM) | 전기를 이용하여(SW적으로) 반복해서 여러 번 정보 기록 가능. |
② RAM(Random Access Memory)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저장. 자유롭게 Read/Write 가능. 휘발성 메모리. 자료 저장 위치는 Address로 구분.
- 종류
- SRAM(Static RAM) : 전원 공급되는 한 내용 그대로 유지. 캐시 메모리 등에 이용.
- DRAM(Dynamic RAM) : 일정 시간 지나면 전하 방전돼서 재충전(Refresh) 시간 필요.
SRAM | 구분 | DRAM |
캐시 메모리 | 용도 | PC 주기억 장치 |
복잡 | 구조 | 단순 |
비쌈 | 가격 | 저렴 |
높음 | 소비 전력 | 낮음 |
불필요 | 재충전 | 필요 |
낮음 | 집적도 | 높음 |
빠름 | 접근 속도 | 느림 |
TR | 구성 | 콘덴서(축전지) |
6. 보조 기억 장치(Auxiliary Storage Unit)
: 주기억 장치의 한정된 기억 용량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전원 차단 되어도 기억된 내용 유지 됨. 주기억 장치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대량의 자료 영구 저장 가능.
①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 순차 처리만 가능한 대용량 보조 기억 장치(SASD). 가격 저렴. 장기간 대용량 보관이나 백업용으로 쓰임.
②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 자성 물질 입혀서 그 위에 데이터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 읽어내는 기억 장치. 순서적인 처리와 비순서(직접)적인 처리가 가능한 보조 기억 장치(DASD).
- 디스크 구동기(헤드 + 액세스 암), 디스크 제어기, 디스크로 구성.
-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료가 저장되는 동심원 = 트랙. 하나의 트랙을 겨러 개로 구분한 것 = 섹터. 동일 위치의 트랙 집합 = 실린더 라고 함.
- 안쪽, 바깥쪽 트랙 길이는 다르지만 정보량은 같음.
- 여러 장일 경우, 디스크 윗면, 밑면은 보호면으로 사용하고 정보 기억 X.
③ 플로피디스크
: 얇은 플라스틱 원판에 자성체 입혀서 정보 기억시키는 장치. 소규모 데이터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외부 기억 매체.
④ 하드디스크 HDD
: 디스크 표면을 전자기적으로 변화시켜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교적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보조 기억 매체.
- 논리적인 영역 확보를 위해 디스크 내부를 분할(파티션)하여 쓸 수 있음.
※Partition : 하드디스크 분할 기능. 포맷 해야 사용 가능. OS에서는 파티션이 하나의 드라이브로 인식 됨. [제어판]-[관리 도구]-[컴퓨터 관리]-[저장소]-[디스크 관리]에서 파티션 작업 가능.
㉠ 하드디스크 연결 방식
IDE | 저가 .안정적. 연결 가능 주변 장치 수 2개 한정. |
EIDE | IDE 확장판. 주변 기기 4개까지 연결 가능. LBA 모드 지원. |
SCSI | 시스템 구분 없이 주변장치 7~15개 연결 가능. 빠른 전송 속도로 주병장치의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달.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 컨트롤러 자체에 프로세서가 장치되어 있어 CPU에 무리 안 주고 데이터 처리 가능. |
RAID | 여러 드라이브의 집합을 하나의 저장 장치처럼 취급함. 장애 발생 않도록 하며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여러 개 HDD를 하나의 Cirtual Disk로 구성하므로 대용량 저장 장치 구축이 가능함. |
㉡ RAID 저장 방식
- 스트리핑 방식 : 분산 저장 방식. 하나의 자료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입출력 빠르나 장애 복구 어려움. (RAID 0)
- 미러링 방식 : 거울 저장 방식. 같은 자료를 2개의 디스크에 동일하게 기록. 장애 시 복구 용이. 읽는 속도 빠름.(RAID 1)
- 패리티 방식 : 스트리핑 방식에 패리티 정보를 따라 기록 저장. 장애 시 패리티 사용하여 복구 가능. 가장 많이 사용됨.(RAID 5)
※RAID의 목적 : 전송 속도의 향상, 안전성 향상, 데이터 복구 용이.
⑤ 광 디스크
: 레이저 빔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어내는 장치.
- HDD 장점 + 플로피 장점
- 중요한 데이터 백업할 때 많이 사용한다.
CD-ROM | CD(Compact Disk)에 기록돼 있는 데이터를 읽고 이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읽기 전용(Read Only) 디스크 드라이브. |
CD-R | 데이터 한 번 기록 가능(Recordable). 많은 양의 데이터 백업 시 사용. WORM(Write Once Read Memory) CD라고도 함. |
CD-RW |
여러 번 기록과 삭제 가능.(Rewriteable). 데이터 담기 위해서는 CD-R/W 드라이브 필요. |
DVD | 4.7GB의 기본 용량(최대 17GB)을 가짐. 1배속은 초 당 1,200KB의 전송 속도. |
⑥ SSD(Solid State Drive)
- 무소음, 저전력, 소형화, 경량화, 고효율의 속도를 지원하는 차세대 반도체 보조 기억 장치.
- 플래시메모리나 DRAM을 사용하지만 DRAM은 휘발성, 가격, 제품 규격 등의 문제로 많이 안 쓰임.
- HDD 보다 외부 충격에 강하고 Bad Sector가 생기지 않음. but 더 비쌈.
7. 기타 기억 장치
① 캐시 메모리
- CPU와 상대적으로 느린 주기억 장치 사이에 있는 고속의 휘발성 버퍼 메모리.
- 자주 참조 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
- SRAM 등이 사용 됨. 주기억 장치보다 소용량.
- 효율성을 적중률(Hit Ratio)로 나타낼 수 있음. 적중률 높을수록 시스템 전체적인 속도 향상.
② 버퍼 메모리
- 속도 빠른 장치와 속도 느린 장치 사이에서 완충 작용 해주는 메모리.
- 읽거나 기록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가능.
- 키보드 버퍼, 프린터 버퍼 등에 내장. 캐시 메모리도 일종의 버퍼 메모리.
- ※ 디스크 캐시(메모리) : 디스크 액세스 빠르게 하기 위해 주기억 장치 내에 설치한 버퍼 메모리. 디스크 캐시로 파일을 미리 읽어 속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프로세스의 지역성 이용.
③ 연관 메모리
-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해 기억 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기억 장치.
- 캐시 메모리에서 특정 내용을 찾는 방식 중 '매핑 방식'에 주료 사용됨.
- CAM이라고도 함.
-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찾는데 저장된 내용에 의하여 접근(병렬 탐색 가능).
④ 가상 메모리
- 보조 기억 장치(HDD)의 일부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사용 기법.
- 주기억 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할 경우에 유용.
- 기억 공간의 확대에 목적이 있는 것. 처리 속도 향상이 아님.
- 자기 디스크를 많이 사용함.
- 세그먼트 기법이나 페이징 기법 사용.
- CPU가 접근하는 각 주소는 가상 주소를 주기억 장치의 실제적인 주소로 매핑하는 방법으로 구현.
⑤ 자기 코어
- 도넛 모양의 기억 소자. Ferrite로 만들어짐.
- 파괴성 메모리. 비휘발성 기억 소자.
- 반도체 기억 소자보다 기록 밀도 낮고 전력 소모 많음.
⑥ 플래시 메모리
- RAM 같은 ROM. -> 비휘발성.
- R/W 수만 번 가능(블록 단위로 기록).
- HDD 대체로 많이 사용 됨.
- EEPROM의 일종.
-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같은 기기에서 사용됨.
⑦ 집 드라이브
- 백업이나 파일 보관 등에 사용되는 휴대용 디스크 드라이브
※ 메모리 속도 빠른 순
레지스터(가장 빠름) - 캐시 메모리 - 주기억 장치 - 보조 기억 장치
※ 기억 장치 용량 대용량 순
보조 기억 장치(가장 대용량) - 주기억 장치 - 캐시 메모리 - 레지스터
8. 입력 장치
- 키보드
- 마우스
- 스캐너
- 광학 문자 판독기(OCR)
- 광학 마크 판독기(OMR)
- 자기 잉크 문자 판독기(MICR)
- 바코드 판독기(BCR)
- 터치 스크린 등
9. 출력 장치
① 모니터
- CRT(음극선관)
- 입출력 표시 속도 빠름. 고해상도 정보 표현 가능. 가격 저렴.
- 큰 부피. 화면 떨림 많음. 소비 전력 높음. 고전압 -> 정전기 발생.
- LCD(액정 디스플레이)
- 작은 부피. 화면 떨림 없음. 비발광체 -> 눈에 부담 적음. 소비 전력 낮음.
- 보는 위치에 따라 화면 내용 다르게 표시. 비쌈. 입출력 속도 느림.
-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 두께 얇고 가벼움. 화면 떨림 없음. 해상도 좋음. 입출력 속도 빠름.
- 고가. 소비 전력 높음. 발열량 많음 -> 냉각 장치 필요.
※ 해상도 : 디스플레이 모니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Pixel의 수. 그래픽 화면의 선명도. 픽셀수 많을수록 해상도 높아짐.
※ 픽셀 : 모니터 화면을 이루는 최소 단위
※ 재생률(Refresh Rate) : 픽셀 빛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한 1초당 재충전 횟수. 재생률 높을수록 모니터 깜빡임 수 줄어듦.
② 프린터
- 충격식 프린터
: 잉크 리본을 헤드로 두드려 인쇄하는 방식. 소음 크고 인쇄 품질 떨어짐.
ㄱ.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ㄴ. 활자식 프린터
- 비충격식 프린터
: 열과 잉크 뿌려서 인쇄하는 방식. 소음 없음.
ㄱ. 열전사 프린터 : 잉크 리본을 녹여 인쇄
ㄴ. 감열 프린터 : 감열 용지를 변색시켜 인쇄
ㄷ. 레이저 프린터 : 복사기의 원리 이용
ㄹ. 잉크젯 프린터 : 잉크 분사시켜 인쇄
-인쇄 속도 단위
ㄱ.CPS(Characters Per Second) : 초당 인쇄되는 문자 수(도트, 활자식 등)
ㄴ. LPM(Lines Per Minute) : 분당 인쇄되는 라인 수(활자식, 잉크젯 등)
ㄷ. PPM(Pages Per Minute) : 분당 인쇄되는 페잊 수(잉크젯, 레이저 등)
※ 인쇄 해상도(DPI; Dots Per Inch) : 1인치에 인쇄되는 점의 수(해상도 나타내는 단위. 높을수록 해상도 높음)
10. 메인보드
: 마더보드라고도 함. 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등 각종 외부 기기 컨트롤러 등을 장착할 수 있는 주기판.
① 확장 슬롯(Slot)
- 카드 형태(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 등)의 주변장치를 장착하는 곳.
- 지원 방식에 따라 (AGP 슬롯, PCI 슬롯, ISA 슬롯 등이 있음.
② 칩셋(Chipset)
- 장착된 부품들 간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및 중요 역할 담당.
- 칩셋의 CPU 지원 여부에 따라 장착 가능한 중앙 처리 장치와 RAM, 구성 가능한 최대 RAM 용량, DMA 지원 가능 여부 등이 달라짐.
③ 버스 방식
ISA | 16비트 버스 방식. 호환성 뛰어나고 가격 저렴. 속도 느림.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
VESA | 32비트 버스. 그래픽 카드의 속도 개선. |
PCI | 32비트 버스. 빠른 전송 속도. 호환성 좋음. 최대 10개까지 주변장치 장착 가능. |
PCIe(PCI Express) | 직렬 방식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64비트 대역폭 갖음. |
AGP | PCI 개선. 고성능 그래픽이나 3D 카드 위한 인터페이스. 3차원 그래픽 표현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버스 규격. |
④ ROM BIOS
-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는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 시스템, 부팅과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들어 있음.
- Firmeware라고도 부름.
- 주변 장치와 운영체제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 전원 켜면 POST(Power On Self Test)라는 자체 진단 프로그램이 시스템 점검하고 구성, 주변장치 초기화함.
- 보통 ROM에 ROM BIOS가 있기 때문에 ROM = ROM BIOS로 생각하기도 함.
⑤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셋업
- 바이오스의 여러 사항을 설정하는 것.
- CMOS 셋업은 사용자가 직접 내용 설정(F2, Delete) 하는 것을 의미.
- 전원 안 들어와 있어도 항상 설정 내용 유지 위해 CMOS 배터리 사용 됨.
- CMOS 셋업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메인보드에 장착된 배터리 재장착 하면 됨.
⑥ 포트(Port)
: 컴퓨터와 주변 장치 연결 위한 접속 부분.
직렬 포트 | 한 번에 1비트씩 전송. 모뎀과 마우스 연결하는 데 사용. COM1~COM4 등이 있음 |
병렬 포트 | 한 번에 8비트 데이터 동시 전송. 주로 프린터 등에 사용. |
PS/2 포트 | 마우스나 키보드를 PC에 접속하기 위해 IBM이 개발. 6핀을 가지고 있는 소형 DIN 플러그 지원. |
USB 포트 | Hub사용하면 최대 127개 주변기기 연결 가능. 직렬, 병렬, PS/2 등을 하나의 포트로 대체하기 위한 범용 직렬 버스 장치. 직렬, 병렬 포트보다 빠름. 핫 플러그 인, 플러그 앤 플레이 지원. |
IEEE 1394 | IEEE(미국전기전자학회)가 표준화한 새로운 직렬 인터페이스 규격의 포트. 컴퓨터 주변장치뿐 아니라 비디오 카메라, 오디오 제품, TV, VCR 등 가전 기기를 PC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로 개발됨. 핫 플로그인 지원. |
IrDA | 적외선 이용한 무선 직렬 포트. 주변 장치와 통신에 사용. |
※ 플러그 앤 플레이 : 별도 설정 없이 연결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 핫 플러그 인 : 전원 연결된 상태에서도 주변장치의 설치/제거 가능.
11.인터럽트(Interrupt)
: 정상적인 프로그램 처리하고 있는 도중 특수 상태 발생 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 중지하고, 특수 상태를 처리한 후 다시 원래 프로그램으로 복귀하는 것.
구분 | 종류 | 원인 |
HW 인터럽트 | 정전(Power Failure) 인터럽트 | 정전 시 발생 |
기계 고장(Machine Check) 인터럽트 | 기계 고장시 발생 | |
외부 인터럽트 | Timer 종료, 오퍼레이터의 콘솔 버튼 조작함. | |
입출력 인터럽트 | 데이터의 I/O종료, 오류 | |
SW 인터럽트 | 프로그램 인터럽트 | 무한 루프나 0으로 나누는 등 프로그램 명령 시 사용법이나 지정법에 잘못 있을 때 |
SVC(SuperVisor Call) 인터럽트 | 감시자의 호출, SVC 명령을 실행함. |
외부, 내부, SW 인터럽트로 구분 가능.
내부 인터럽트는 불법적 명령이나 데이터 사용 시 발생. 그래서 Trap이라고도 함.
12. IRQ(Interrupt ReQuest)
: 주변기기(마우스, 키보드 등)에서 일어나는 인터럽트 신호.
- 우선순위 따라 접수할지 판단, 접수하면 현재 실행 중인 처리 중단하여 식별 번호에 따라 대응 처리.
- 발생 장치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장치에 허용. 2개 이상 HW가 동일한거 사용하면 충돌 발생.
13. 교착 상태(Deadlock)
: 한정된 자원을 각 프로세스들이 서로 차지하려고 무한정 대기하는 상태. 해당 프로세스의 진행이 중단되는 상태.
- 교착 상태 발생 위한 4가지 조건
ㄱ. 상호 배제 : 필요한 자원을 각 프로세스가 배타적 통제권을 요구할 때
ㄴ. 점유와 대기 : 프로세스가 자원 할당받아 점유하면서 다른 자원을 요구할 때
ㄷ. 비선점(Non-preemption) :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사용이 끝날때까지 강제로 뺏을 수 없을 때
ㄹ. 환형 대기 : 각각 다른 프로세스 간 자원의 요구가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원형(환형)과 같은 사슬 형태로 존재할 때
14. 입출력 채널(I/O Channel)
: 중앙처리장치 처리 효율 높이고 데이터 입출력 빠르게 할 수 있게 만든 입출력 전용 처리기.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 장치 사이의 속도 차를 위한 장치. CPU 간섭 없이 수행. 작업 완료 시 인터럽트로 알림.
ㄱ. 채널 종류
- 셀렉터 채널 : 주기억 장치와 고속 입출력 장치 간 데이터 전송하는 프로세서. 한 번에 한 개 장치 선택하여 동작하는 채널.
- 멀티플렉서 채널 : 여러 개 서브 채널이 있어서 저속의 여러 입출력 장치(프린터, 카드)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채널.
- 블록 멀티플렉서 채널 : 블록 단위로 이동시키는 멀티플렉서 채널. 셀렉터 + 멀티플렉서의 복합접 형태.
ㄴ. 채널의 기능
- 입출력에 관한 명령 해독.
- 각 입출력 장치에 해독된 명령 실행 지시.
- 지시된 명령의 실행 상황 제어.
15. DMA(Direct Memory Access)
- CPU의 간섭 없이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직접 전송 이뤄지는 방법. 고속으로 대량 데이터 전송.
'컴활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활 1급 실기 - 스프레드 시트 -2 (0) | 2025.03.06 |
---|---|
컴활 1급 실기 - 스프레드 시트 (0) | 2025.03.06 |
컴활 1급 필기 <1과목 컴퓨터 일반> -5 (0) | 2025.02.18 |
컴활 1급 필기 <1과목 컴퓨터 일반> -4 (0) | 2025.02.18 |
컴활 1급 필기 <1과목 컴퓨터 일반> -3 (0) | 2025.02.17 |